우리문화 장원장 마금봉 2016. 12. 7. 14:03 장호원장 장호원에장은4일과9일에서는데 최초 개장은 17세기이후라합니다 옛날에는인근지역은 물론이고 여주.이천.설성.충주에서도 장호원을 이용했다하니그규모는짐작이갑니다 지금은 옛날에비해많이위축된상황이지만 지금도장이서면 보부상들에 난전에그물건들이다양합니다 또한 청미천(옛날천민천)을 타고 배로서울에서 새우젓과생선을 싣고들어왔고 트럭에는보부상들이마치피난민을 연상케했을정도로 시장이형성되엇다합니다 근래에들어와선 교통과유통시장활성화로 점점그빛이퇴색되는느낌입니다. 위에지도는 옛날에장이서던곳이며 이곳하천은백족산줄기에서내려오는 실개천인데장호원초교뒤를지나청미천으로흐르는천입니다 이하천복개는 아마70년대초에복개되지않았나생각됩니다 지금은 복개천위에시장이주축으로이루어지고 옛시장터는D옛날 우시장터로 이천시에서재래시장활성화를위해서 건축시설을 해놓고그곳을 중심지로시장형성을 하려했으나 노점상들이 이곳을 이용치않아지금은 주차장용으로이용합니다. 상가구조물시설이아까운시설물 장날에열리는이벤트행사공연장을 만든다면 더많은 인파와시장활성화에도움이되지않을까 하는주민들에마음이담겨있습니다. 위에지도는 지금에시장 형성위치이며 장이서지않는날은 주차장으로이용하고있습니다 해방전에는장이서면 커다란성시를이루었다고합니다. 지금은 상업에발달로점포가증가하고 공설시장이활성화됨에따라5일장을 찾는사람이줄었지만 시장을 구성하는점포.보부상.매출상.출시인 각기관에출장인들입니다 보부상이 아직도이지역에 장날마다돌고돌며 매매거래를통한 커다란 구실을하고있습니다 그들이없으면장이되지않을정도죠 매출상은 농촌에서직접물건을 사서판매하며 그밖에음식점또한 북적입니다 지역주민을 상대로식당이형성되고 상설점포보다노점상인들이 더많은 것이 장호원장에 특징이네요 저작자표시 비영리 변경금지 (새창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