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 풀이
〈국문뒤풀이〉는 한글 자모음의 결합 순서에 따라 4음보 율격에 맞춰 말을 이어가는 글자풀이 노래이다. 이 노래는 경기잡가 혹은 경서도잡가에 분류되면서도 일반 잡가나 통속민요와 다른 ‘기타잡가’의 주변적 위상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인식되었다. 그러나 이 노래는 민요로서 다양한 각편이 존재하고 있고, 근대계몽기 가사, 도덕가사로서도 수용되고 있으며, 그 독특한 작시법으로 인해 우리 노래문화의 한 특질을 드러내는 작품이라 평가할 수 있다.
이 노래는 판소리 사설과 탈춤대본에 천자뒤풀이에 이어 등장하기도 하는데, ‘언문’을 통해 독서생활을 하던 문화적 자양분이 그 형성의 배경이 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동시에 1900년대를 전후로 한 초등교육에서 활용된 국문표가 이 노래의 형성과 수용에 중요한 역할을 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1902년 기록된 천주교가사 등에 이 노래의 형식이 원용된 것은 이미 그 이전에 노래가 형성되었다는 근거가 된다.
1930년대에는 경서도 잡가의 가창자들에 의해 유성기음반으로 취입되어 유통되었다. 이들에 의해 유통된 노래 가사는 이별의 상황에서 임을 원망하기도 하고 탄식하기도 하는 애상성을 띠고 있다. 현재 전하는 민요자료의 약 절반 정도는 유성기음반 자료로 전하는 잡가의 내용과 관련이 있다. 그런데 민요자료에는 노동의 애달픔이나 민족감정을 담은 현실적인 내용이 담기기도 하여 잡가의 애상성과는 다른 현실성을 보여준다. 이 노래의 형식상 가사와 친연성을 지니는데, 가단에서 하단까지를 두운으로 하여 창작된 154행의 장편가사에는 규중여자의 도리를 강조하거나 역사적 지식을 과장하는 등 고답적인 내용으로 회귀하는 현상을 보여준다. 〈국문뒤풀이〉는 잡가ㆍ민요ㆍ가사 형식으로 지난 1세기 동안 전승된 노래로서 우리 노래문학 작시법의 한 측면을 보여준다는 의미에서 단순한 악곡 이상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
국문풀이
가갸거겨.가나다라마바사아자.차카타 파하
기역니은 디귿리을.
기역자로다 집을짓고니은 자로다테를 달아
지긋이지긋이 한백년사자더니인연이없어못살겠네.
가갸거겨 허니
가이없는 이내몸이 거지없이 되었구나
고교 구규
고생하는 우리낭군구곤하기가 짝이없네.
.
나냐 너녀
나귀등에다 솔질하고
순금 안장 지어타고팔도강산 구경갈까
노뇨 누뉴
노년은 무용인데아니놀고 무엇하리
다댜 더녀
붙은 정이 덧이없어 뚝떨어졌네
도됴도듀
도장은 젊은 놈이 갱소년 못하리라.
라랴 러려
날아가는 원앙새야 널과날과 날아보자.
로료루류
로료춘풍은 안개유지 처처에있겠만은
마먀 머며
마잤드니 마잤드니 임에생각 절로난다
모묘 무뮤
무정 세월 고류 파하여 돌아간 봄철 이 또다시오네.
바뱌 버벼
밥을 먹자 돌아보니 벗이없어 못먹겠네.
보뵤 부뷰
보고지고 보고지고 임에얼굴 보고지고
사샤 서셔
백년 살자 언약하더니 언약이중치않아 못살겠네
소쇼수슈
소솔이 단풍 찬바람에
울고가는 기러기야 임에소식 전해주렴
아야어여
아이 달삭 쥐었던 손목 어이없이 뚝덜어졌네.
오요 우유
오동 복판 거문고에 새줄없어 무릅에놓으니
청학 백학 우줄 우줄 춤을 춘다
자쟈저져
자조 종종 오메던 임이 소식조차돈절이란 말까.
조죠주쥬
조벼내게 골내든 왕군편지 일장 논설하다.
차챠 처셔
차라리 잊었으면 온정이나 달끓일걸
초쵸추츄
초당에 곤히 든잠봉학이 소래에 농래깨어
봉학은 간곳없고나느니 솔솔 물소 랠세
카캬커켜
용장군도 드는 칼로요내몸을 점점이 점일지라도
임을 잃고 못살 겠네,
코쿄쿠큐
콜작콜작 우는 눈물에이내 옷깃 다젖는다.
타댜 터텨
타도타도 월타도한대 누구를 바라보고 나여기왔나.
토툐투튜
투기지심 절로나고 임은 없어 못살 겠네.
파퍄 퍼펴
파요파요 보고파요 임에얼굴 보고파요.
포표 푸퓨
폭포수를 짓는 물에 아죠풍덩 빠졌드면
요꼴 조꼴 아니볼걸.
하혀 허혀
한양 낭군 내낭군인데편지 이장을 논설하다.
호효 후휴
후회지심이 절로나네임 생겨달라고 기도나 하자.
*(본문은경기도지방)그외 예산 지방 등..이있음
(가사출처 :한국 고전 문학 전집)
*본노래가사는 본문내용과상이 할수도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