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복숭아 당도 높이기 주요 요점
지금 우리 농가가 재배하는 농업은 지상부 관찰 약처방식 농업으로 생각과 고정관염을 바꾸어 농업을 하지 않으면
개방화 세계화에 대응하기가 힘들다고 생각하며 우리 농업이 경쟁력에서 이기며 소비자가 안전, 안심 하고 먹을수 있는 먹거리 생산을 위하여는 뿌리관리 농업으로 전환이 시급하고 토양관리 농업을 하므로 당도도 높이고 우수한 고품질생산이 한 거름 앞서간다고 생각이 되며 앞으로 GAP(우수농산물관리제도)실천을 해야 되는 추세에 동참하고자 아래와 같이 고당도 복숭아 생산을 위한 실천 내용을 요점정리 하여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가.복숭아 의 생리생태 을 알고 재배하자.
나.밑거름 시비 시기, 방법, 시비량 개선에 의한 재배.
다.정지전정 방법개선에 따른 나무관리.
라.토양관리 철저로(초생재배등).
마.개화전, 후 관리 철저로 우수 고품질 과일 생산.
바.생육기중 철저한 나무 관리가 시급하다.
사.과일 수확후 나무 관리가 시급하다.
아.적기 적량 살포로 병해충 방제 실시 예방.
자.엽면시비로 생리장해 해결하자.
가. 복숭아 의 생리생태 을 알고 재배하자.
[그림 : 복숭아의 일생]
나.밑거름 시비 시기, 방법, 시비량 개선에 의한 재배
▶ 관 행 : 해동후 2월 또는 3월중 시비
▶ 개 선 : 11월중순 이후부터 12월중에 시비
▶ 시비량 : 관행시비에서 토양검정에의한 시비
▶ 시비장소 : 수관하부 중심 시비에서 헛골시비
▶ 질소 과다 시비로 수세안정이 안되고 있는 현실
다.정지전정 방법개선에 따른 나무관리
▶ 목 적
-.복숭아나무 의 공간확보, 통풍, 햇빛이잘들고, 해거리방지, 수세안정 으로 병해발생 억제.
▶ 관 행
-. 복숭아는 동해에 약하여 2월하순부터 3월경에 하여야 한다는 고정관염.
▶ 개 선
-. 수확완료후 10월15일이후 또는 전정후 봄철에 약간 정지전정함이 바람직함 → 수세안정의 지름길
▶ 복숭아 나무의 40% 이상 정지전정은 과번무에 지름길 이며 과번무의 온상이다.
라.토양관리 철저로(초생재배등)
▶ 관 행
-. 오늘날 과원 토양관리는 무경운 관리로 토양삼상(고상, 액상, 기상)의 불균형을 초래 지하부 뿌리 관리가 미흡하여 작은 원인에 의하여도 피해가 크게 나타난다
-. 특히 무분별한 시비로 토양이 알카리성으로 변하는 추세이며 그로인하여 길항작용에 의하여 미량요소 결핍에 의한 영향으로 생리장해가 쉽게 일어나는 현상임.
▶ 과수원 초생재배가 왜 좋은가
식물이 물을 빨아들이는 힘은 잎의 기공으로 물이 증발하고 이 때 증발 된 물많큼 뿌리를 통해 물을 흡수하여 증발이 생깁니다. 이힘을 잎수분 포텐셀 이라고 한다.
나무가 잡초나 목초에 비해 잎수분 포덴셀이 헐씬강합니다 따라서 같은 물 이 있더라도 수분은 풀보다 나무쪽으로 흡수되며 양분도 당연히 나무쪽으 로 흡수되어 양분공급에 지장을 받지 않습니다.
콩, 고추, 상추와 같이 잡초와 비숫한 잎수분 포텐셀이 갖은 작물은 잡초가 있으면 수분과 양분의 경쟁이 일어나 생육에 지장을 주지만 과수는 흡수력 이 헐씬 강하므로 수분과 양분에 지장을 받지 않고 오히려 양분의 일시적 인 과잉을 하여주는 역할을 합니다.
초생재배를 하면 유기질비료를(퇴비)를 주는 효과도 있겟네 그럼 당연하 지 잡초가 죽으면서 겉흙뿐만 아니라 솎흙에도 유기물을 주는 효과가 있으니까.
과수에는 겉에만 거름을 하게되면 뿌리가 점점 표면으로 올라와 수세가 약해질 수밖에 없는데 초생재배는 잡초(목초)가 나무뿌리 사이로 뻗어 내려가고 그뿌리가 가을에 죽어서 미생물과 지렁이의 먹이가 되기 때문에 솎흙 까지 토양이 개량되어 나무가 건실해지고 과실품질도 좋아집니다.
마.개화전, 후 관리 철저로 우수 고품질 과일 생산
▶ 토양속에 작물이 필요 하는 영양분이 충분하여도 토양속에 수분이 부족하면 영양분 흡수가 잘 않되므로
3월 상순부터 4월상순 까지(개화 10~15일전단수) 충분한 관수하여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 대과 생산을 위한 적과 요령
조생종 1과당 20매, 중생종 25매, 만생종 30매.
알파그린 1,000배액을 개화전, 착과후 2회살포.
종신장이 길고 쭈굴쭈굴한 과일만 남기고 제거.
결과지길이10㎝이상 1과, 30㎝미만2과, 30㎝이상3과 착과.
바.생육기중 철저한 나무 관리가 시급하다
▶복숭아나무 는 6월 상순부터 신초 자람이 멈 추워 영양생장에서 생식생장으로 전환하여야 하나 대부분농가에서는 신초가 계속자라도록 유도하는 형태임.
▶도장지 제거를 일시에 계속적으로 수확하는 과정에 까지 제거하는 형태로 나무 수세관리가 안되고 늦게까지
신초가 자람으로 꽃눈이 부실하고 동해에 약할 수 있다.
사.과일 수확후 나무 관리가 시급하다.
▶모든 농가는 수확 후 작업 끝 형태로 과원 관리 하므로 병해충 발생량이 매년 증가 되어 생육기중 병해충방제 횟수를 지속적으로 늘여 방제하므로 병해충스스로 내성이 생기게 하여 고독성 농약을 사용해야하는 실태임.
▶앞으로 GAP(우수농작물관리제도), 생산이력제등 친환경 농업으로의 경영이 힘들게 하는 추세임.
자.엽면시비로 생리장해 해결하자.
▶ 엽면살포제 와 살포농도
비 료 성 분 |
엽 면 살 포 제 |
살 포 농 도 |
질 소 |
요소 |
0.5% |
인 산 |
인산1칼슘, 인산1칼륨 |
0.5%~1.0% |
칼 리 |
황산칼리, 인산1칼륨 |
0.5%~1.0% |
칼 슘 |
염화칼슘 |
0.5% |
마그네슘 |
황산마그네슘 |
2% |
붕 소 |
붕사, 붕산 |
0.2%~0.3% |
철 |
황산철 |
0.1%~0.3% |
아 연 |
황산아연 |
0.25%~0.4% |
- 0.1% = 20g
-약해 방지를 위하여 인산과 칼리는 그 1/2량의 생석회와 혼용
-마그네슘은 요소와 혼용
-민감한 품종의 경우 = 아연은 동량의 생석회와 혼용하면 약해가 방지됨.
-가능한 농약과 혼용하지 말 것.
아.적기 적량 살포로 병해충 방제 실시 예방
▶복숭아 병해충 종합관리(IFP) 방제프로그램
|
시 기 |
살균제 |
적용균 |
살충제 |
적용충 |
비 고 |
1 |
동계약제 |
|
월동해충 |
기계유제 |
응애, 깍지벌레 |
|
2 |
동계약제 |
석회유황합제 |
축엽병,천공병, 잿빗무늬병,탄저병, |
|
깍지 |
|
3 |
동계약제 |
석회보르도액 텔란 |
축엽병,천공병 탄저병,수지병 |
더스반 코니도 |
나방, 깍지 |
|
4 |
개화후 5/5일경 |
농용마이신 텔란 |
천공병 |
더스반 코니도 |
굴나방, 심식 |
복숭아식초살포 |
5 |
5월중순 5/15일경 |
훼나리 헥사코나졸 톱신 |
흰가루, 흑성 탄저 |
매치 똑소리 |
진딧물 굴나방 심식, 순나방 |
응 애 페로팔 식초 |
6 |
5월하순 5/30일경 |
한우물 안트라콜 |
천공병, 흰가루, 탄저, 흑성 |
아타라 노몰트 |
나방류 응애류 |
심식충류 후라단 식초 |
7 |
6월중순 6/15일경 |
비온엠 노브랄 아연석회6×6 |
탄저, 흑성, 흰가루, 천공 |
아타라 노몰트 |
굴나방,진딧물 심식, 순나방 |
칼슘제 식초 과실비대 |
8 |
6월하순 6/30일경 |
안트라콜 헥사코나졸 |
탄저, 흑성 |
미믹 디디브이피(친환경농약) |
심식,유리나방 응애류 |
식초 경핵기 |
9 |
7월중순 7/15일경 |
아미스타 텔란 바이코 |
잿빛, 역병 흑성, 천공 |
디밀린 똑소리 (친환경농약) |
심식 잎말이 나방 |
경핵기 식초 조생종수확(월봉,창방) |
10 |
8월초순 8/1일경 |
보가드 벤레이트 |
잿빛, 탄저 |
더스반 미믹 (친환경농약) |
심식, 굴나방 유리나방 |
식초 꽃눈분화기 중생종수확(미백,천중도,유명 |
11 |
8월하순 8/21일경 |
후론사이드 바이코 |
잿빛, 탄저, 갈반 |
더스반 미믹 (친환경농약) |
응애류 굴나방 심식나방 |
식초 만생종수확(황도) |
12 |
9월초순 9/1일경 |
안트라콜 |
잿빛, 탄저, 흑성 |
디디브이피(친환경농약) |
심식나방 |
식초 만생종수확 |
'복숭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복숭아 알 크게하기 (0) | 2022.11.13 |
---|---|
영양제 (0) | 2021.03.15 |
핵할원인 (0) | 2017.08.22 |
복숭아가지치기 (0) | 2017.02.09 |
[스크랩] 복숭아(자두) 방제농약 및 재배법 (0) | 2015.10.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