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적인 형태
<embed src="음악 주소" width="300" height="68" type="audio/x-ms-wma" autostart="false" loop="true" showcontrols="1" showstatusbar="1" showaudiocontrols="1" volume="0"></EMBED>
Xray 형태
<embed style="FILTER: xray()" src="음악 주소" width="300" height="68" type="audio/x-ms-wma" autostart="false" loop="true" showcontrols="1" showstatusbar="1" showaudiocontrols="1" volume="0"></EMBED>
Alpha 형태 (밝기 효과)
<embed style="FILTER: alpha(opacity=100
finishopacity=0 style=3)" src="음악 주소" width="300" height="68" type="audio/x-ms-wma" autostart="false" loop="true" showcontrols="1" showstatusbar="1" showaudiocontrols="1" volume="0"></EMBED>
Invert 형태
<embed style="FILTER: invert()" src="음악 주소" width="300" height="68" type="audio/x-ms-wma" autostart="false" loop="true" showcontrols="1" showstatusbar="1" showaudiocontrols="1" volume="0"></EMBED>
Blur 형태
<embed style="FILTER: blur()" src="음악 주소" width="300" height="68" type="audio/x-ms-wma" autostart="false" loop="true" showcontrols="1" showstatusbar="1" showaudiocontrols="1" volume="0"></EMBED>
Gray 형태
<embed style="FILTER: gray()" src="음악 주소" width="300" height="68" type="audio/x-ms-wma" autostart="false" loop="true" showcontrols="1" showstatusbar="1" showaudiocontrols="1" volume="0"></EMBED>
* 참고 설명
embed 태그 옵션에 대해서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src : 해당 음악이나 비디오 파일의 주소(경로)
autostart : 자동 시작 지정부분 (True : 자동 시작, False : 멈춤)
width : 미디어 플레이어 가로 크기 (수치를 넣어주면 지정해 준 만큼 나옴)
height : 미디어 플레이어 세로 크기 (동일)
hidden : 미디어 플레이어를 감추는지 여부 (True : 감춤, False: 나옴)
loop : 음악을 반복할 재생할 것인지 여부 (1 : 한번 재생, -1, True, Infinite : 무한 반복 재생)
volume : 음악의 소리의 크기 여부 (0 : 최대화)
showstatusbar : 미디어 플레이어 아래 쪽 부분에 있음, 음악의 정보 또는 출처 표시 (0 : 없앰, 1 : 표시)
showcontrols: 미디어 플레이어의 사용하는 모든 컨트롤 표시 (0 : 없앰, 1 : 나타냄)
showaudioconrols : 미디어 플레이어의 소리 크기 조절하는 부분 표시 (0 : 없앰, 1 : 나타냄)
type : 잘 안씀
showstatusbar : 미디어 플레이어 아래 쪽 부분에 있음, 음악의 정보 또는 출처 표시 (0 : 없앰, 1 : 표시) 여기서 제일 중요한 부분 일 것 같은데
이소스가 들어 가면 바의 성질이 다나옵니다...
그리고 파일에서 속성에 들어가 자세히 탭에 글을 넣어주면
이것이 바에서 나오게 됩니다... 물론 showstatusbar=1일때입니다..
그리고
이것을 스마트 폰에서도 보고 파일 에서도 보게 할려면
<AUDIO src="주소" loop autoplay controls><EMBED height=55 type=audio/mpeg width=300 src=주소 wmode="transparent" showstatusbar="1" volume="0" loop="true" x-x-allowscriptaccess="sameDomain" allowNetworking="internal"></EMBED></AUDIO>
여기 소스에 넣는 것인데 이것은 두개의 모양이 되여 하나는 스마트폰에서 볼수 있는 소스이고
하나는 컴에서 볼 수 있는 소스가 나와서 주소가 두개가 되는 것입니다.
<audio> 소스는 스마트 폰에서 볼 수 있는 소스이고
<embed> 소스는 컴에서 볼 수있는 소스입니다
embed는 컴에서 사용 되는 용어 이고
src는 주소를 말합니다.
주소 뒤에 반복을 의미하는 loop="true
그리고 소리의 크기를 최대로 하는 volume="0"
상태를 보여 달라는 showstatusbar="1"
노래바의 모양을 나타내는 타입 type=audio/mpeg
넓이와 높이를 나타내는 width=300 height=55
태그를 표시하는 <>를 넣으면 끝입니다.. 이그...ㅋㅋㅋ
즉
<embed src=노래주소 loop="true" volume="0" showstatusbar="1" type=audio/mpeg>
이렇게 넣으면 노래가 나옵니다
주소 뒤에 명령소스는 모두 한칸씩 띄어야 하고 showstatusbar="1" 소스를 사용할려면
파일에서 성질을 설정을 해놓습니다.. 즉 속성으로 들어가서 자세히 탭에 글을 설정하면
얼마든지 글자가 바 밑에 바뀔수가 있습니다
노래바의 성질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