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치:충청북도 제천시 한수면 송계리
월악산에 위치한 덕주사 법당지의 동쪽
암벽에 부조되어 있는 고려시대 마애불입상.
덕주사마애불 입상
보물 제406호. 높이 13m. 거대한 마애불상의 양 어깨 위에는
목조전실이 있었던 가구공(架構孔)의 흔적이 남아 있다.
얼굴 부분은 약간 도드라지게 조각되었으나
두 손이나 신체 표현 및 법의의 옷주름 등은
선각으로 간략하게 처리되어 전체적으로 치졸한 조각수법을 보여준다.
길고 턱이 진 얼굴에는 양감이 별로 없고,
목부분의 표현이 생략되어 얼굴과 몸체가 거의 붙어 있으며
가슴 쪽으로 삼도(三道)가 새겨져 있다.
통견(通肩)의 법의가 양 다리 위로 갈라져
표현된 타원형의 옷주름은 통일신라시대
불상의 법의 형식이 도식화된 것으로,
만복사지석불입 과 같은 고려시대 석불에서 간혹 볼 수 있는 특징이다.
가슴 앞으로 올린 두 손은 유달리 크고 투박한 느낌을 주며
오른손은 엄지와 가운뎃손가락이 맞대어 있고,
왼손은 손등이 밖으로 향해 있어
아미타불의 구품인(九品印)을 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법의자락 밑으로는 군의(裙衣)의 옷주름이
규칙적인 세로선으로 표현되어 있고
그 아래에는 옆으로 크게 벌린
두 발이 거대한 몸체를 안정감있게 받치고 있다.
이 마애불상은 넓적한 얼굴에 볼륨감이
거의 없는 평면적인 신체표현이나
도식화된 옷주름 등에서 치졸한 조각기법을 보여주며,
]고려시대에 유행했던 마애석불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양식적 특징을 반영하고 있다.
] 전설에 따르면 신라말 마의태자의 여동생인 덕주공주가
이 불상을 조성했다고 하나 확실하지 않다.
'우리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고향율면 (0) | 2016.12.01 |
---|---|
금줄에유래 (0) | 2013.07.26 |
금오산 마애보살 입상 (0) | 2012.08.06 |
조선 왕실 연대와현재 (0) | 2012.03.19 |
고려장 이야기. (0) | 2011.12.10 |